
사랑하는 연인이 이별을 고하는 순간, 그의 얼굴과 가로등, 보름달—세 개의 달이 눈앞에 겹쳐졌다. 영원할 것 같았던 사랑이 깨지면서 그와의 모든 약속에 공백이 생기고 그 공백은 가능성으로 이어졌다. 본 작업은 이 경험을 출발점으로 달이 하나인 것과 같은 견고한 진리에 질문하며 그 틈에서 무한히 확장되는 변화를 조형적으로 탐구한다. 이 과정은 개인적 서사와 감정적 사건이 제도적 내러티브를 재구성할 수 있는 잠재성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관계와 세계를 재편할 수 있는 비공식적이고 유동적인 구조를 상상하게 한다.
In the moment a loved one ended our relationship, his face, a streetlight, and the full moon—three moons—overlapped before my eyes. As a love that once felt eternal shattered, every promise we had made was left with gaps, and those gaps became possibilities. Taking this experience as its point of departure, the work questions the seemingly unshakable truth that there is only one moon, and sculpturally explores the infinite transformations that can unfold within such fissures. This process proposes the potential for personal narratives and emotional events to reconstruct institutional narratives, envisioning unofficial and fluid structures through which relationships and worlds might be reconfigur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