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작 과정에서 남겨진 부산물의 날카로운 구멍과 흔적을 바라보며 이들이 형성하는 관계 속에서 삶의 구조와 연결 방식을 탐색한다. 부산물에 연속적으로 반응하며 새로운 상태가 생성됨에 따라 중심과 주변의 경계는 흐려진다. 이는 부산물이 구조를 변화시키는 잠재적 매개로 전환되는 순간을 시각화한다. 이를 통해 작업은 공식적 구조가 배제하거나 간과하는 요소들이 새로운 질서를 형성하는 방식을 드러낸다. 세라믹 타일에 그린 각기 다른 패턴은 이러한 흐름을 확장한다. 조각은 완결된 형태가 아닌 유기적 흐름이 되며 관계가 삶 속에서 지속적으로 재구성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Observing the sharp holes and traces left by byproducts in the creative process, the work explores the structures of life and modes of connection formed within their relationships. By responding continuously to these byproducts, new states are constantly generated,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center and periphery. This visualizes the moment when byproducts are transformed into potential agents of structural change. Through this, the work reveals how elements excluded or overlooked by official structures can generate new orders. The varied patterns painted on ceramic tiles extend this flow. The sculpture becomes not a fixed form, but an organic current, embodying the continual reconfiguration of relationships within life.



